경제/경제일기

[경제 일기] 2023.04.21 / 경기 침체 부동산, 금융권 위험 증가

봉자씨 2023. 4. 21. 09:20
반응형

기준일 04.20

코스피 2549.23(-0.54%)
다우산업 33786.62 (-0.33%)
WTI 77.37(-1.87)
원달러 1326.7(+4.2)
달러인덱스 101.56(-0.1)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234 / 3.409 / 3.5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4.15 / 3.54 / 5

거시 경제 (국내):

생산자 물가 3개월 연속 상승…3월 전월比 0.1%↑

  • 생산자 물가지수 3개월 연속 상승 전월대비 0.1% 올라, 1년전보다 3.3% 높은수준
  • 농산물 하락, 공산품, 서비스업 상승

주식 (국내외):

[뉴욕증시]테슬라 충격에 투심 '뚝'…실적 긴장감 커진다

  • 테슬라 순이익 24% 하락발표에 주가 10% 하락 빅테크주 전반에 영향.
  • 다우존스 0.32% 하락, S&P 500 0.60% 하락, 나스닥 0.80% 하락. 러셀 2000 지수는 0.54% 하락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꾸준히 증가중, 주택시장 역시 매매건수 1년전보다 22% 급감. 긴축으로 인한 경기침체 지표로 확인

부동산 (국내):

전세사기, 이제 시작이다... 2년전 갭투자 '폭탄 예고' [전세사기 피해 전국서 속출]

  • 2021년 10가구중 1곳이 깡통전세, 집값 하락하며 보증금 반환 초비상
  • 21년에서 2년지난 지금 전세금 반환이 불가한 집들이 속속 나오면 깡통전세 위험이 커지는 중.
  • 지만 2년 전 깡통전세 급증과 매매가 및 전셋값 동반하락으로 아파트도 전세사기 대란이 불거질 것이란 우려가 짙어지고 있다.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전반적으로 경기 침체 속으로 들어가는 중.
  • 인플레 영향이 큰 이상 현금자산을 들고있는 것이 오히려 손해인 지금.
  • 금 값은 이미 많이 오른상황에서 채권이나 단기 투자상품이 매력적으로 보임. 실제로 국고채10년물 금리가 상당히 오르는중
  • 부동산에 전세사기, PF 대출 등 많은 문제가 발생중인데 은행권과 관련있는 부분이 많아 리스크 관리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