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일 06/22
코스피 | 2593.70 |
다우산업 | 33946.71 |
WTI | 69.51 |
원달러 | 1298 |
달러인덱스 | 101.99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506 / 3.647 / 3.5 |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4.78 / 3.79 / 5.25 |

국제 뉴스 (해외):
비트코인 4000만원 찍었다…파월·블랙록이 쏘아올린 불장
- 파월 "스테이블코인, 화폐로 봐"
- 블랙록, 현물 ETF 첫 출시 신청
- 코인 '투자가치 인정' 분위기에 불과 나흘 새 가격 14.4% 급등
주식 (국내외):
"FANGMAN 곧 추락"…엔비디아 1.7% 테슬라 5.4%↓[뉴욕마감] - 머니투데이
- 뉴욕증기 연속 하락 랠리 지속후 차익실현 이뤄지는 중
- 파월: 인플레를 낮추기 위해 추가적인 효과 나타날 때까지 금리 인상 계속할 것
- 개인 소비지출 4.7% 유지, 5월 CPI 5.3% → 두차례 추가인상
- AI 랠리 곧 끝날 듯
부동산 (국내):
[땅땅땅] 6월 입주 많은 곳 보니…서울 아파트 '역전세난' 이미 시작
- 주변 아파트 전세 실거래가, 2년 전보다 1억원 안팎 떨어져
- 대규모 입주물량 지역은 올가을이 아닌 이미 역전세난 시작
- 전셋값 고점계약이 21년3분기~22년 2분기에 많았기 때문에 내년 상반기 까지 계속 될것으로 예상.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부동산 미분양 체크 필요, 역전세난 심화 될 것.
- 최근 언급없는 부동산 PF 리스크, 연체율 리스크 확인 필요. 금리인상의 부작용은 3~6개월후 부터 발생. 금융부실 발생 가능성 있음.
- 미국 금리 인상 2차례 할 것 → 한미 기준 금리차 1.75%로 이미 역대 최고수준, 한국 금리 동결하면 2.25%로 상당히 벌어질 듯. 한은 금리 인상 고심. 변수는 내년 총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