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일 7/4
코스피 | 2,593.31 |
다우산업 | 34,418.47 |
WTI | 69.79 |
원달러 | 1297.5 |
달러인덱스 | 102.65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562 / 3.623 / 3.5 |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4.90 / 3.84 / 5.25 |
거시 경제 (국내):
저축은행 '급전대출' 750억 연체에도…저신용자 '노크' 여전
- 저축은행에의 소액 급전대출 연체 745억원, 전년동기 대비 8.6% 증가.
- 소액신용대출액은 1조216억원으로 12.6% 증가
- 소액신용대출의 평균 연체율은 9.35%로, 저축은행 업계의 전체 대출 연체율 5.1% 보다 높음
- 이미 법정최고금리인 20%에 가까워 계속되면 수익화 어려울듯
국제 뉴스 (해외):
日 8월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기 조율 중 -닛케이(상보)
- IAEA 일본 오염수 해양방류 문제 없다 판정. 8월 부터 해양방류 방안 조율중.
- 오염수 방류로 타격을 받는 지역 어민들의 반대 여전히 거세.
- 일본정부 “관계자의 이해” 없이는 어떤 처분도 이행하지 않는다 밝혀.
부동산 (국내):
- DSR 40%가 적용되던 전세보증금 반환 대출에 앞으로 DTI 60%
- DSR과 DTI 모두 연소득 기준으로 대출액이 결정, DTI는 주택대출을 제외한 기타 대출의 경우 이자 상환능력만 계산
- 실수요자 무리하게 갭투자 가능성, 재건축/재개발 사업기간 단축, 기부채납 부담 완화등 주택공급 확대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금리 인상 효과 연일 지속. 은행대출 연체율 연일 최고 갱신.
- 신규 대출의 경우 금리 줄었으나, 기존대출의 경우 금리 증가중. 3년만기 변동형 고정 금리의 경우 2% 고정금리에서 4%대 변동금리로 변환시 이자 2배 증가.
- 일시적으로 올랐던 부동산 매매가격 주시 필요.
반응형
'경제 > 경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일기] 2023.07.10 / 미 CPI에 맞춰 7월 금리 인상될 듯 (0) | 2023.07.10 |
---|---|
[경제 일기] 2023.07.07 / 미 노동시장 과열 여전 (0) | 2023.07.07 |
[경제 일기] 2023.07.03 / 금리 인상 금융 비상 (0) | 2023.07.03 |
[경제 일기] 2023.06.28 / 무역수지 개선 기대 (0) | 2023.06.28 |
[경제 일기] 2023.06.27 / 기술주 랠리 스탑, 서울 부동산 추가 공급 (0) | 202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