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일 7/11
코스피 | 2,520.70 |
다우산업 | 33,944.40 |
WTI | 72.99 |
원달러 | 1300 |
달러인덱스 | 101.64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665 / 3.863 / 3.5 |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4.87 / 4.00 / 5.25 |
거시 경제 (국내):
[금통위 폴] 전문가 10명 만장일치로 “한은, 7월까지 기준금리 4연속 동결할 듯”
- 한국은행 기준금리 3.5% → 동결 가능성 높음
- 2%대의 안정적인 물가 상승률, 새마을금고 PF 대출 부실 불안 요인 가중
- 무역수지 흑자로 돌아서 안정성 확보
- 미국과 금리차 2% → 그러나 외화유출이 크지 않고 환율이 1300원대로 안정적으로 유지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한국 은행 7월 금리 동결 단행할 듯.
- 올 하반기 금리 인하 점치고 있으나 지금 나타나고 있는 무역수지 흑자는 수입이 줄어 생기는 좋지 않은 흑자.
- 물가상승률 또한 전체적으로 2%대 이나, 식품, 의류, 외식, 서비스등은 4~8%에 육박하는 상승률을 보임.
- 결국 낮은 에너지가격에 기댄 물가 상승률과 무역수지 회복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위험요소 여전히 존재함
- 금리인하는 이런 식품, 의류, 외식, 서비스등의 인상률이 더 떨어져야 가능할 것 약간의 침체 분위기가 필요함.
반응형
'경제 > 경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일기] 2023.07.13 / 미 CPI 3%, 근원 CPI 4.8% 성급한 회복가능성 경계해야 (0) | 2023.07.13 |
---|---|
[경제 일기] 2023.07.12 / 결국 근원 CPI가 관건 (0) | 2023.07.12 |
[경제 일기] 2023.07.10 / 미 CPI에 맞춰 7월 금리 인상될 듯 (0) | 2023.07.10 |
[경제 일기] 2023.07.07 / 미 노동시장 과열 여전 (0) | 2023.07.07 |
[경제 일기] 2023.07.05 / 소액신용대출 연체율 9.35%, 전세보증대출 DTI 60% (0) | 202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