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일 5/23
코스피 | 2567.55 |
다우산업 | 33055.51 |
WTI | 72.91 |
원달러 | 1320 |
달러인덱스 | 103.38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470 / 3.473 / 3.5 |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4.32 / 3.69 / 5.25 |
거시 경제 (국내):
- 기대인플레이션율이 3개월 연속 하락, 3.5%로 4월보다 0.2% 낮아
- 지난날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3%대로 내린 영향이 커
- 앞으로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품목 76.1%가 공공요금. 이어 농축수산물(30.4%), 석유류제품(28.5%) 등
- 5월 전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4월보다 2.9포인트 오른 98
미시 경제 (국내):
‘고수익’ 하위등급 회사채 인기…‘주가폭락’ 삼천리도 흥행 [투자360]
- 시장금리 하락으로 AAA 신용등급 회사채의 금리 매력이 줄어 하위등급 회사채 인기 상승. AAA미만 회사들이 회사채를 대거 발행
- 회사채 발행금리는 통상 국고채 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한 값. 전날 국고채 3년 5년물 금리는 각각. 3.373%, 3.385%로 기준금리 3.5% 미만
- “금리 인상 전 저금리로 조달했던 기존 채무가 상환되고 지난 2년 금리 인상기에 높아진 조달 금리와 이자 부담이 기업에 본격적으로 부담이 되는 시기가 왔다”며 “늘어난 기업 이자비용은 수익성을 훼손하고 특히 A 등급 이하 기업들을 중심으로 신용등급 하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주식 (국내외):
美부채한도 협상 난항에 뉴욕증시 약세…누리호 오늘 3차 발사[뉴스새벽배송]
- 미국 재무부가 밝힌 채무불이행(디폴트) 시한이 9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초단기 국채금리가 연일 폭등하는 등 시장에 긴장감이 커져
- 5월 제조업 업황 BSI는 전월보다 3포인트 상승한 73, 비제조업 업황 BSI는 78로 전월보다 4포인트 상승, 지난해 10월(79) 이후 가장 높은 수치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기대인플레이션율 3%대로 떨어지며 회복 조짐. 한국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할 수 있음.
- 그러나 아직 PF등 보이지 않는 변수들이 있음
- 30% 정도 투자 시작해도 된다고 판단.
반응형
'경제 > 경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일기] 2023.05.31 / 물가 아직 안잡혀.. 미금리인상 가능 (0) | 2023.05.31 |
---|---|
[경제 일기] 2023.05.30 / 금리 동결 → 너무 이르면 다시 인플레 올수도 (0) | 2023.05.30 |
[경제 일기] 2023.05.23 / 카드사 연체율 상승 (0) | 2023.05.23 |
[경제 일기] 2023.05.22 / 가계부실 수면위로 / 국채금리 상승 (0) | 2023.05.22 |
[경제 일기] 2023.05.17 / 경기선행지표 침체 가르켜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