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일 4/5
코스피 | 2,495.21 (+0.59%) |
다우산업 | 33,482.72 (+0.24%) |
WTI | 80.61 (-0.1) |
원달러 | 1317.0 (+2.0) |
달러인덱스 | 101.54 (+0.28)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289 / 3.326 / 3.5 |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77 / 3.30 / 5 |
거시 경제 (국내): "금리는 미국이 더 높은데"...집값은 왜 우리가 더 떨어졌나
- 가계, 국가채무 급증세...이자부담 '허리 휘어’
- 부채부담 주요국 최고수준, 가계부채에 전세보증금 합하면 3000조, 가계부채 비율 156.8% OECD 1위.
- 정부, 기업 채무 상승세도 가팔라.
미시 경제 (국내): "중국 전기차가 몰려 온다" 韓전기차, 이대로는 안방 뺏길판
- 자동차산업연합회 "국가전략기술화 등 3대 지원책 필요"
- "보호주의 추세 강화...신속하고 과감히 지원돼야"
- 국내 생산보다 해외 생산이 유리한 현재 투자 지원을 통해 국내 에서 사업하도록 해야
주식 (국내외): [뉴욕증시]다시 고개 드는 경기침체 우려…나스닥 3일 연속 하락
- 美 고용·제조업 위축 신호에 경기침체 우려 확산
- 2월 구인건수 이어 3월 민간고용도 증가폭 둔화
- 서비스업 지표도 예상치 밑돌며 전월比 하락
- 유가 5일만에 내리고 금값은 역대 최고치 근접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금리인상의 효과가 이제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으로 보임
- 미국은 견조했던 노동시장에서 침체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음.
- 한국은 가계부채로 인한 가계부실 파산이 문제일듯. 특히 부동산 가격이 큰폭으로 하락하고 있어 가계 부담이 높음.
- 서민 대출이 인기라는 최근 기사도 이를 뒷받침 하는 근거
- 유가 추이, 잠시 잊고있었던 부동산 PF 대출 부실과 우크라 러시아 전쟁도 대외 변수로 여전히 남아 있음.
반응형
'경제 > 경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일기] 2023.04.10 / 한국 금리 동결 유력 (0) | 2023.04.10 |
---|---|
[경제 일기] 2023.04.07 / 미 고용지표 하락 / 부동산 가격 낙폭 확대 (3) | 2023.04.07 |
[경제 일기] 2023.04.05 / 미 경기침제 조짐 (3) | 2023.04.05 |
[경제 일기] 2023.04.04 / OPEC+ 감산 발표 / 인플레 압박 (0) | 2023.04.04 |
[경제 일기] 2023.04.03 / 은행위기 해소 4월 상승전망 / 불안 요소 여전히 잔재 (0) | 2023.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