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일 4 / 18
코스피 | 2571.09 (-0.19%) |
다우산업 | 33976.63(-0.03%) |
WTI | 80.9 (+0.07) |
원달러 | 1319 (+1) |
달러인덱스 | 101.44(-0.35)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228 / 3.352 / 3.5 |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 4.75 |

미시 경제 (국내):
예금은 내리고 대출금리는 올렸다… 시중은행과 반대로 가는 저축은행
- 예금금리, 5.37%→3.81% 하락
- 대출금리, 1%포인트 가량 상승
- 저축은행 “수익성 관리 차원” → PF 대출 변수로 수익성 악화할 수도
국제 뉴스 (해외):
금리 상승은 호재였다…미 4대은행 예상밖 '깜짝 실적'(종합)
- 소매금융 강한 BoA, 올해 1분기 깜짝 실적
- 투자금융 위주 골드만은 시장 위축 직격탄
주식 (국내외):
[뉴욕증시]실적 혼재와 긴축 우려…보합권서 방향성 찾기
- 다우존스 30 0.03% 하락. S&P 500 0.09% 상승. 나스닥 0.04% 하락
- '어닝 시즌' 시장 보합권서 혼조
- 불라드 "금리 5.75% 인상 지지" → 지속적인 인플레 대비해야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기업 실적 발표에 시장은 혼조세
- 뚜렷한 침체 실적은 아님 → 인플레 우려 잔재 → 금리 추가 인상 가능
- 저축은행 지난해보다 수익성 악화로 예대마진 늘려
반응형
'경제 > 경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일기] 2023.04.21 / 경기 침체 부동산, 금융권 위험 증가 (1) | 2023.04.21 |
---|---|
[경제 일기] 2023.04.20 / 전세 사기 심각..부동산 경기에 악영향 (1) | 2023.04.20 |
[경제 일기] 2023.04.18 / 쉽게 하락하지 않는 미국 경제 (0) | 2023.04.18 |
[경제 일기] 2023.04.17 / 노동시장, 부동산시장 침체 (1) | 2023.04.17 |
[경제 일기] 2023.04.14 / 인플레 둔화확인 / 시중금리 인하 선반영 (0) | 2023.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