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일 4/19
코스피 | 2575.56(+0.02%) |
다우산업 | 33897.01(-0.23%) |
WTI | 79.24(-1.66) |
원달러 | 1329(+11) |
달러인덱스 | 101.66(+0.22)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237 / 3.370 / 3.5 |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4.25 / 3.59 / 4.75 |
주식 (국내외):
[뉴욕증시]따분한 실적시즌, '이익 급감' 테슬라가 균열 내나
- 다우존스 30 0.23% 하락. S&P 500 0.01% 하락. 나스닥 0.03% 상승. 러셀 2000 0.22% 상승.
- 연준 긴축 우려 속 어닝 시즌 소화
- '가격 인하' 테슬라 순익 24% 급감
- 반응 없던 증시, 테슬라에 반응할까
부동산 (국내):
'전세사기 공포'에 빌라 전세 '찬바람'…아파트 전세는 '훈풍'
- 서울 아파트 임대차 중 62% 전세…대출금리 안정, 월세급 등에 세입자들 다시 전세로
- 전세 사기 우려에 빌라 전세 수요는 급감…거래량, 거래 비중 모두 역대 최저
[르포]삼성맨도 당했나…전세사기 덮친 동탄신도시 부동산도 '텅텅'
- 전세사기 의심 공인중개사 대표자 명의 변경돼
- 전문가들 "전세사기 예방, 피해자 구제 투트랙 필요"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어닝시즌을 따분하게 흘려보내고 있는 중. 특별한 거시지표나 발표가 있지 않은 이상 박스권장세 지속 될 듯.
- 부동산 전세사기 공포가 연일 확산하며 침체된 부동산 시장을 더 얼어붙게 만드는 중. 거래 절벽속에 급매 위주로 매매가가 하락중인데, 거래량이 적어 실제 시장가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을 수 있음. 즉 시장은 더 많은 낮은 가격을 원하고 있을 수 있음.
반응형
'경제 > 경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일기] 2023.04.24 / 전세사기, 금리 역전, 금리 동결 후 본격적인 침체 시작 (0) | 2023.04.24 |
---|---|
[경제 일기] 2023.04.21 / 경기 침체 부동산, 금융권 위험 증가 (1) | 2023.04.21 |
[경제 일기] 2023.04.19 / 혼돈의 시장 / 아직 인플레 (0) | 2023.04.19 |
[경제 일기] 2023.04.18 / 쉽게 하락하지 않는 미국 경제 (0) | 2023.04.18 |
[경제 일기] 2023.04.17 / 노동시장, 부동산시장 침체 (1) | 2023.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