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일 5/2
코스피 | 2524.39 |
다우산업 | 33,684.53 |
WTI | 71.66 (-4) |
원달러 | 1343 (+1) |
달러인덱스 | 101.72 (-0.2)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324 / 3.372 / 3.5 |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98 / 3.42 / 5 |
거시 경제 (국내):
- 기준금리 1%p올라가면 주택 상승률이 4%p 가까이 하락하고 착공 증가율은 7%p 넘게 떨어진다는 KDI 분석
- 고금리에 따른 주택건설 부진현상으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올해와 내년 각각 0.3%p, 0.4~0.5%p 낮출 수 있음
주식 (국내외):
- 3대 지수 모두 1%가 넘는 하락세로 마감했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이날 이틀 일정으로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시작한 가운데 팩웨스트를 비롯한 지역은행들 주가가 다시 폭락하며 투자 심리가 위축됐다.
- 은행주 폭락, 기술주도 고전
부동산 (국내):
1분기 생애 첫 집 매수자 역대 최소…고금리·집값 하락 영향
- 1분기 전국에서 생애 첫 집을 마련한 매수자가 1분기 기준 역대 최소 6만8105명
- 생애 최초 주택 매수 53.3%는 30대 이하로 역대 최저
- 생애 첫 주택 구매를 위한 대출 규제 완화와 세금감면 혜택을 내놓고 있지만 여전히 금리가 높으며 집값 추가 하락에 대한우려로 내집마련을 미루고있음.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고금리에 경제 전망 하락.. 생각보다 부동산시장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듯.
- 금리 인상 이번이 마지막일지.. 채권 수익률이 매우 좋은 상황이라 인기가 많음. 다른 기회는 없을까?
반응형
'경제 > 경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일기] 2023.05.08 / 반도체 부진 언제쯤 끝날지 (0) | 2023.05.08 |
---|---|
[경제 일기] 2023.05.04 / 미국 금리상단 5.25% (0) | 2023.05.04 |
[경제 일기] 2023.05.02 / 퍼스트리퍼블릭 파산 (1) | 2023.05.02 |
[경제 일기] 2023.04.27 / 소비심리 개선 그러나 환율 1340원대 고공행진 (1) | 2023.04.27 |
[경제 일기] 2023.04.26 / 국제 신용 리스크 수면 위로… (1)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