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일 | 2/23 |
코스피 | 2439.09(+0.86%) |
다우산업 | 33153.91(+0.33%) |
WTI | 73.95(-2.41) |
원달러 | 1295.00(-8.00) |
달러인덱스 | 104.5200(+0.4100)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602(-0.5bp) / 3.595(-4.4bp) / 3.5(-) |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5.0344(-3.06bp) / 3.8865(-3.65bp) / 4.75 |
환율 1300원 밑으로 다시 하향세. 국채 금리도 하향세. 장단기 금리 역전 다시 발생.
거시 경제 (국내): 韓경제, 대형위기 없이 '위기급' 성장률…한은, 올해 1.6% 전망 (뉴스원)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3.5%로 동결,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로 0.1%p 하향 조정.
- 작년 4분기 0.4% 역성장을 기록하며 민간소비·수출이 모두 부진한 결과.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장기 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 잠재 성장률은 지속 하락해 2047년부터 마이너스.
미시 경제 (국내): 지난해 수입 주류시장 위스키 부활·맥주 시들 (MBC)
- 2022년 위스키류 수입액은 1년 전보다 52.2% 증가(3,478억원)했습니다. 15년만의 최대치.
- 이는 홈술·혼술 문화와 젊은 층의 위스키 수요 증가로 분석됩니다.
- 지난해 와인 수입액(7592억원)은 역시 최대를 기록했으나, 맥주 수입액은 12.5% 감소(2545억원) 4년째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국제 뉴스 (해외):
- 미국 북부와 서부 지역에서 겨울 폭풍 경보가 발령. 최대 2피트(60cm)의 눈과 최고 시속 60마일(97km)의 강풍 예상
- 미 중북부 중심 항공편 1480편 운항 취소.
- 일부지역 영하 30도까지 떨어질 예정.
주식 (국내외): ‘반도체 덕’ 연준 리스크에 출렁인 뉴욕증시 상승 마감…엔비디아 14%↑ [월가월부] (매일 경제)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각각 3.33%, 0.72% 상승. S&P500, 다우지수 각각 0.53%, 0.34% 상승.
- FOMC의사록에서 50bp 금리 인상선호 위원이 있는 내용, 인플레 목표 2% 재확인으로 매수심리 위축. 그러나 새로운 내용은 없어.
- NVIDA가 실적 발표와 골드만삭스의 호평으로 인해 주가가 상승, WBD의 부진한 분기 실적 발표로 시간 외 거래 주가가 하락, 보잉은 737드림라이너 항공기 인도 중단 소식으로 인해 주가가 하락.
- 미국 달러화 가치는 보합세로 거래.
부동산 (국내):
- 전주 대비 강남권 전셋값 1.11% 하락, 이 중 입주 물량의 영향이 있는 개포·대치·일원·압구정동 평균보다 하락폭이 큰 1.39% 하락. 전세 가격지수 89.2로 하락.
- 강남, 서초 1만여 가구 신규 공급예정.
- 임대차 2법 영향. 전세계약이 종료된 물건이 많아져 역전세난이 심화. 전세 매물 1년 전보다 70% 이상 증가.
5대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한은 기준금리 3.5%로 주요국 중 처음으로 금리 동결. 1%대의 저성장에 돌입. 시장금리도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음.
- 부동산 시장 침체 요인중 하나인 금리가 동결되어 호신호 이긴하지만, 공급이 수요를 앞지른 상황은 지속될 것 → 계속 하락세 유지
- 환율은 다시 1300원 아래로 돌아왔고 달러 인덱스도 보합세 → FOMC의사록 공개 이슈는 다 반영된 듯.
- MZ세대의 소비 문화인 스몰 럭셔리가 주류 업계까지 영향. 음주 문화도 취하기보단 음미하는 문화로 바뀌며 와인, 위스키가 주도. 특히 스몰럭셔리 성향은 경기 침체에서 많이 나타남.
- 미국 한파로 항공기 운송업계 등의 타격 예상.
반응형
'경제 > 경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일기] 2023.02.28 / 정부압박에 물가인상 철회 / 자발적 비정규직 증가 (2) | 2023.02.28 |
---|---|
[경제 일기] 2023.02.27 / 미 기준금리 상단 6%? 부동산 침체속 대학가 월세 비상. (2) | 2023.02.27 |
[경제 일기] 2023.02.23 / FOMC 의사록: 더 강한 긴축 (3) | 2023.02.23 |
[경제 일기] 2023.02.22 / 미 금리 50bp 인상 가능성 높아져 / 부동산 시장 전세 하락으로 월세도 하락 시작. (2) | 2023.02.22 |
[경제 일기] 2023.02.21 / 기대인플레이션 다시 4%대, 외국인 공매도 배팅 1000억 증가. (2) | 2023.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