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일 3/20
코스피 | 2,379.20 (-0.69%) |
다우산업 | 32,244.58 (+1.2%) |
WTI | 67.64(-0.9) |
원달러 | 1308.5(-1) |
달러인덱스 | 103.28(-0.43)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320 / 3.305 / 3.5 |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92 / 3.47 / 4.75 |
미시 경제 (국내): SVB발 유가 추락에도…주유소 기름값 더 오른다 (한국 경제 TV)
- 유가 안정세에 세수 부족 우려까지 커지면서 정부가 다음달 유류세 인하 조치를 연장하되, 인하 폭을 줄이는 방안을 놓고 고민
- 휘발유는 25%, 경유는 37%의 유류세를 각각 할인. 5월부터는 유류세 단계적으로 정상화 검토
- 기름값 인하로 이제야 조금씩 잡히기 시작한 물가를 자극할 수 있음
주식 (국내외): [뉴욕증시]'급한 불' CS 껐지만…퍼스트리퍼블릭 불안 여전 (이데일리)
- 스위스 UBS가 CS를 인수하기로 하면서 안도랠리. 총자산 1조7000억달러에 달하는 ‘메가 뱅크’가 탄생
- 다우존스 1.20%, S&P500 0.89% 상승, 나스닥 지수는 0.39% 상승
- 연준 및 세계 6개 주요국 중앙은행은 “달러화 유동성 스와프 관련 7일 만기를 주 단위에서 하루 단위로 늘려” 유동성 공급 강화
- 위험선호 살아나며 채권시장 약세. 미국 2년물 국채 4.029%까지 올랐다. 15bp 이상 뛴 수치. 미국 10년물 국채 3.519%까지 상승. 달러인덱스는 장중 103.28까지 0.4% 이상 하락.
부동산 (국내): [집잇슈]갭투자 열풍, 역풍으로…뚝 떨어진 전세가율 어쩌나 (비즈와치)
- 서울 전세가율 50% 붕괴 임박…강남은 42%로 급락
- 2016~2017년 전세가율 이례적 상승 뒤 갭투자 성행
- 서울, 노후 단지 많고 월세 등 대체…50%대 유지될 것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SVB사태 이후 은행들의 도미노 파산 위험이 있었으나 금융당국의 발빠른 대응으로 시장에 안도감을 주며 미증시는 상승.
- 위험 선호 심리가 늘어 채권가격 하락
- 이로인해 유가도 추락중이었으나 잠시 숨고르기
- 정부도 떨어지는 유가에 유가보조금 정상화 논의중 다만 소비심리에 다시 영향을 줄수 있어 조심스런 접근
- 금리 인상으로 서울 전세가율 40%대로. 상대적으로 매매가가 안내려가. 매매가 빠지는 지역은 매매 전세갭 2000만원으로 급매위주 갭투자
반응형
'경제 > 경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일기] 2023.03.23 / 연준 기준금리 25bp 인상 / 가계 대출 연체율 증가 (0) | 2023.03.23 |
---|---|
[경제 일기] 2023.03.22 / FOMC 기준금리 결정 도래 / 봄 이사철 맞아 부동산 거래 증가 (1) | 2023.03.22 |
[경제 일기] 2023.03.20 / PF대출 부실 우려 / 근로시간 유연화 개편 (2) | 2023.03.20 |
[경제 일기] 2023.03.17 / 퍼스트리퍼블릭 구제 / ECB 빅스탭 (1) | 2023.03.17 |
[경제 일기] 2023.03.16 / 경기침체 데이터 확인 (1)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