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일 3/21
코스피 | 2,388.35 (+0.38%) |
다우산업 | 32,560.60 (+0.98%) |
WTI | 69.67(+1.85) |
원달러 | 1307.5(-1) |
달러인덱스 | 103.26(-0.03)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340 / 3.305 / 3.5 |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9240 / 3.4770/ 4.75 |
거시 경제 (국내): 기준금리 밑도는 국고채… 금융불안에 예금·대출금리 모두 '뚝’ (머니S)
- 은행 위기로 경기둔화 선반영 국채 금리 하락. 기준금리보다 낮아.
- 지난 20일 기준 은행채 5년물(무보증AAA) 금리는 3.9%로 지난 10일(4.292%)에 비해 열흘만에 0.392%포인트 하락. 이를 준거금리로 잡는 은행 대출 금리도 하락.
- 예금금리 3.45~3.55%로 0.29%p 하락
주식 (국내외): 뉴욕증시, '예금보장' 옐런 발언에 일제 상승 ‘테슬라 7.82%↑’…유가·비트코인 상승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한국경제TV)
- 다우지수 0.98% 상승. S&P500 1.30% 상승. 나스닥 1.58% 상승.
- 2월 기존주택 판매(계절조정치)는 전월 대비 14.5% 증가. 13개월 만에 증가세
- 국제유가 글로벌 위기감 완화되며 69.33 달러에 거래
부동산 (국내): "봄 되면서 이사 건수 많아져"…부동산 후방산업도 '숨통’ (뉴시스)
- 이삿짐 센터·부동산 중개업자·인테리어 등
- 부동산 관련 업계 거래 빙하기 탈출 기대감
- 지난 21일 기준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348건으로 2021년 10월(2198건) 이후 1년4개월 만에 처음으로 월 2000건을 넘어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은행발 경제 위기감 고조로 경기 둔화를 선반영 혹은 미국의 발빠른 대처로 은행발 경제위기감 안정되어 위험자산 투자 심리 증가로 → 국채 금리가 떨어지고 있음. 국채 금리가 고점이 었던것은 맞는듯
- 위기감 완화로 주가, 유가 등은 반등중 오늘 있을 연준의 금리 발표는 베이비 스탭으로 시장이 선반영된것 같은데, 동결한다면 큰 파장이 있을듯.
- 봄 + 최근 대출 금리 하락으로 이사건수 증가. 부동산 시장이 다시 살아날지 아니면 살아나는 것 처럼 보이면서 장기적으로 하락할지. 후자에 조금더 무게를 두는중.
반응형
'경제 > 경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일기] 2023.03.24 / 금리인상 종료 임박 / 위스키, 와인 주류시장 이끈다 (1) | 2023.03.24 |
---|---|
[경제 일기] 2023.03.23 / 연준 기준금리 25bp 인상 / 가계 대출 연체율 증가 (0) | 2023.03.23 |
[경제 일기] 2023.03.21 / UBS-CS인수 / 서울 전세가율 40%대 임박 (0) | 2023.03.21 |
[경제 일기] 2023.03.20 / PF대출 부실 우려 / 근로시간 유연화 개편 (2) | 2023.03.20 |
[경제 일기] 2023.03.17 / 퍼스트리퍼블릭 구제 / ECB 빅스탭 (1) | 2023.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