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경제 일기] 2023.04.14 / 인플레 둔화확인 / 시중금리 인하 선반영
기준일 4/13 코스피 2,561.66(+0.43%) 다우산업 34029.69 (+1.14%) WTI 82.16 (-1.10) 원달러 1307 (-17) 달러인덱스 100.7 (-0.47)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235 / 3.273 / 3.5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97 / 3.45 / 4.75 한은 국민연금과 350억 달러 한도 통화 스와프 거래로 환율 하락 거시 경제 (국내): "금리 인상 종료" 짙어진 기대…한은 물가 잡기 흔들까 한국과 미국 모두 기준금리 인상이 종료될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은 금리 인하를 미리 반영하고 있다. 금리를 낮추라는 당국의 압박으로 인해 은행권에서도 금리 인하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금리 인하를 위해 1년 반 동안 공들인 한국은행의..
[경제 일기] 2023.04.13 / 미 CPI 둔화 확인 / 삼성전자 D램 감산
기준일 4/12 코스피 2550.64(+0.11%) 다우산업 33,646.5 (-0.11%) WTI 83.26 ( +1.73) 원달러 1324 (1.5) 달러인덱스 101.17 (-0.71)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272 / 3.262 / 3.5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97 / 3.42 / 5 미시 경제 (국내): ‘삼성 감산의 힘?’…D램 가격 13개월 만 첫 반등 [biz-플러스] D램 시장 선행지표···현물가 0.78% 상승. 삼성 감산발표 이후 반등 현물가는 소비자가격 → 기업간 거래는 개별 협상으로 고정가격 사용하지만 보통 3개월 차를 두고 현물가가 고정가에 반영되어 현물가는 선행지표로 활용 시장에서 많이 사용중인 8G 램은 계속하락세. 하지만 통신기술고도화..
[경제 일기] 2023.04.12 / 한은 2회 연속 금리 동결 3.5%
기준일 4/11 코스피 2547.86(+1.42%) 다우산업 33,684.79 (+0.29%) WTI 81.53 (+1.79) 원달러 1322.5 (-0.5) 달러인덱스 101.88 (-0.36)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279 / 3.225 / 3.5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4.03 / 3.43 / 5 거시 경제 (국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741742?sid=101 기준금리 2회 연속 동결 (3.5%) …사실상 '긴축 종료' 해석도 예금금리 하락세 이어질 전망…예금이탈 가속화 → 투자증가? 주식 (국내외): [뉴욕증시]CPI 대기 모드…연준 인사들 비둘기 발언 주목 다우 0.29% 상승, S&P500 0..
[경제 일기] 2023.04.11 / 미 고용지표 견조 / 대출 부실 우려
기준일 4/10 코스피 2512.08 (+0.87%) 다우산업 33586 (0.3%) WTI 79.74 (-0.96) 원달러 1323 (+4) 달러인덱스 102.24 (+0.51)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363 / 3.236 / 3.5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4.01 / 3.41 / 4.75 미시 경제 (국내): 연체·부실대출 등 곳곳 이상 징후…은행 손실 대응력 괜찮나 연체율 꾸준히 상승세…도소매·부동산 부실대출도 ‘쑥’ 대출 늘어난 인터넷은행, 6개월 미만 연체 300% 급증, 담보비중 50% 턱없이 낮아 위험 손실흡수능력 강화 요구 커져…자본적정성에는 악영향 국제 뉴스 (해외): 세계 2위 中태양광업체 "美는 비싸서…첫 해외공장 다른 곳에" 세계 2위 태양광 업체 ..
[경제 일기] 2023.04.10 / 한국 금리 동결 유력
기준일 04.07 코스피 2490.41 (+1.27%) 다우산업 33485.29 ( - ) WTI 80.7 ( - ) 원달러 1317.0 (-) 달러인덱스 101.51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282 / 3.289 / 3.5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99 / 3.41 / 4.75 거시 경제 (국내): "금리인상 끝…한은, 이번에도 동결할 것" 물가상승 주춤, 경기둔화, 대외 불안 고려. 전문가 10인 만장일치 3월 CPI 4.2% 작년 3월 4.1% 이후 최소상승폭 금리 인하는 의견 분분 올해 4분기 -0.25% vs 내년 미시 경제 (국내): 정부에 "도와달라" 손 벌리는 2030 청년들[최저신용자의 방주]② 청년 다중채무자 눈에 띄게 증가 정책금융에 손 벌리는..
[경제 일기] 2023.04.07 / 미 고용지표 하락 / 부동산 가격 낙폭 확대
기준일 4/6 코스피 2459.23 (-1.44%) 다우산업 33485.29 (+0.01%) WTI 80.7 ( +0.09) 원달러 1319 (-0.5) 달러인덱스 101.51(-0.03)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275 / 3.278 / 3.5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83 / 3.30 / 5 국제 뉴스 (해외): 심상찮은 유가…고공행진 항공권, 유류할증료에 더 오르나 산유국들 감산 발표로 유가 출렁, 꺾였던 유류할증료, 다시 오를수도 여행수요 폭증, 항공권값 안내려 코로나 이전보다 여전히 비싸 → “운항편수 점차 늘면 가격 내려갈 것” 주식 (국내외): 뉴욕증시, 고용보고서 앞두고 소폭 상승 ‘알파벳 3.78%↑’…유가 상승·비트코인 하락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
[경제 일기] 2023.04.06 / 국내 가계 부실 위험 / 대외변수 확인 필요
기준일 4/5 코스피 2,495.21 (+0.59%) 다우산업 33,482.72 (+0.24%) WTI 80.61 (-0.1) 원달러 1317.0 (+2.0) 달러인덱스 101.54 (+0.28)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289 / 3.326 / 3.5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77 / 3.30 / 5 거시 경제 (국내): "금리는 미국이 더 높은데"...집값은 왜 우리가 더 떨어졌나 가계, 국가채무 급증세...이자부담 '허리 휘어’ 부채부담 주요국 최고수준, 가계부채에 전세보증금 합하면 3000조, 가계부채 비율 156.8% OECD 1위. 정부, 기업 채무 상승세도 가팔라. 미시 경제 (국내): "중국 전기차가 몰려 온다" 韓전기차, 이대로는 안방 뺏길판 자동차산업연..
[경제 일기] 2023.04.05 / 미 경기침제 조짐
기준일 4/4 코스피 2,480.51(+0.33%) 다우산업 33,402.38(-0.59%) WTI 80.71 (+0.29) 원달러 1312.5(-0.5) 달러인덱스 101.26(-0.52)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281 / 3.316 / 3.5 미국채 2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82 / 3.34 / 5.0 거시 경제 (국내): 주담대 3%대라면서...제 이자는 왜 계속 오르죠 주담대 금리 하단이 1년여만에 연 3%대, 이자 부담을 여전해 신잔액 코픽스와 신규취급액 코픽스가 다르기 때문. 기존 대출자는 신잔액 코픽스를 따라가는데 전체 상품 기준, 신규취급액 코픽스는 1달간 새로 취급한 상품을 기준으로 산출 기존 대출자가 금리인하를 느끼는 시기는 올해 말이 될 것. 미시 경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