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일 | 3/1 |
코스피 | 2412.85 (-) |
다우산업 | 32,661.84 (+0.02%) |
WTI | 77.69 (+0.64) |
원달러 | 1310.00(-10.50) |
달러인덱스 | 104.82(+0.2)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701 / 3.753 / 3.5 |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5.0531 (+4.32bp) / 3.9944 (+8.04bp) / 4.75 |
거시 경제 (국내): 연 5%대 예금금리 해 바뀌니 '증발'…얼마나 줄었길래 (뉴스원)
- 정기예금 5%이상 금리 비중 11월 29.7%에서 1월 1.9%
- 대출금리 낮추며 예금금리 더 낮춰 예대금리차 확대.
- 기준금리 동결로 금리 하락 기대감이 더커져 앞으로 오를 가능성 적을듯.
미시 경제 (국내): '中하늘길 수놓는다' 항공업계의 기대감…여객수요↑·항공화물↓(이데일리)
- 국내 항공 업계 중국 노선 증편 시작. 여객 수요 크게 오르고 화물 사업은 운임하락으로 작아질듯
- 정부 3월부터 한중간 국제항공편 주 100회 까지 점진적 확대. 중 노선은 대형 항공사 수익에 큰 비중
- 항공화물 운임 21년 12월 홍콩 북미노선 1키로당 12.72달러에서 23년 2월 4.93까지 떨어져. 기존에 개조했던 비행기 다시 여객기로
국제 뉴스 (해외): [김남희의 차이나 트렌드] 마오타이 마시던 중국, 위스키에 빠졌다…스카치·일본산 싹쓸이에 중국산 싱글 몰트 제조도 (조선비즈)
- 세계2위 위스키그룹 페르노리카 중국에 몰트 위스키 증류소 건설
- 중국 위스키 수입증가로 세계 위스키 가격 상승. 젊은 중간층 위주로 위스키 인기
- 영국 주류사 디아지오 조니워커 블루로 중국서 인기몰이
주식 (국내외): [뉴욕증시]10년물 국채금리 4% 터치...나스닥 0.66%↓(아시아경제)
- 다우존스 +0.02%, S&P500 -0.47%, 나스닥 -0.66%
- 금리에 민감한 기술, 소비재, 부동산 관련주 하락. 에너지주 국제유가 상승에 랠리 이어가
- 미10년 국채금리 장중 4%넘어 3.99%로 마감.
-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 경계감에 주가는 빠지고 채권은 오름세
- 2월 미 ISM PMI 47.7 S&P글로벌 PMI 47.3 50이하 위축세 지속.
- 중 2월 제조업 PMI 52.6, 서비스업 PMI 56.3으로 전월치, 전망치 상회
부동산 (국내): "반복 유찰 물건, 절반가에 잡자"…경기·인천 응찰자 3년만에 최대 (서울경제)
- 2월 경기 경매 평균 13.7명 응찰인천 10.4명 서울도 전월비 ↑
- 2회 유찰땐 시작가, 감정가 절반
- 실수요자에게 중요한 교육 교통 등 주거환경 좋은 곳 위주
5대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한은 금리인상 중단 기미 보인 12월 이후 예금금리 급격히 하락. 대출금리는 천천히 내리면서 예대금리차 확대 → 은행 수익률 증가.
- 중국 리오프닝으로 원자재, 에너지가격 지지, 국내 여객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증편 시동.
- 한국과 비슷하게 중국에도 싱글몰트 위스키가 2030세대를 중심으로 유행. 미 증류주 디아지오(DEO), 유럽 페르노리카(PER) 관심주.
- 한국 10년 국채 금리도 기준금리를 넘어섰는데 미국도 지속적으로 상승 중. 국채 금리 상승으로 주가가 크게 오르지 못함.
- 부동산 최근 유찰건수 늘면서 감정가 50%미만인 물건에 응찰 몰려. 감정 평가 가격은 일반적으로 시장 시세보다 1년정도 늦게 반영되기 때문에 속속 하락한 부동산 가격으로 평가되는 건물이 생겨 메리트 생길 듯. 금리 인상 중단도 영향 줄듯.
반응형
'경제 > 경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일기] 2023.03.06 / 금리 다시 상방 압력 / 수요과 공급을 잘 살피자 (0) | 2023.03.06 |
---|---|
[경제 일기] 2023.03.03 / 국채 금리 4% 갈까, 1인가구 외식 증가 (0) | 2023.03.03 |
[경제 일기] 2023.03.01 / 대출 금리 하락, 미 금수제재 강화 (2) | 2023.03.01 |
[경제 일기] 2023.02.28 / 정부압박에 물가인상 철회 / 자발적 비정규직 증가 (2) | 2023.02.28 |
[경제 일기] 2023.02.27 / 미 기준금리 상단 6%? 부동산 침체속 대학가 월세 비상. (2) | 202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