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일 3/3
코스피 | 2432.07(+0.17%) |
다우산업 | 33390.97(+1.17%) |
WTI | 79.68(+1.52) |
원달러 | 1301.00(-14.5) |
달러인덱스 | 104.48(-0.51)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707 / 3.776 / 3.5 |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5.03 / 3.96 / 4.75 |
거시 경제 (국내): 대출금리 오른다…기준금리 동결에도 시장금리 '들썩' (이데일리)
- 미 연준 '금리 고점설' 깨지자 국고채↑
- 은행 주담대 하단 금리 0.28%p 상승. 예금금리 상단 일주일새 0.20%p 올라
- 은행채 움직임에 금리 상승세 지속 전망도
국제 뉴스 (해외): 韓은행, 中 대신 베트남 공들였는데 親중화에 난감… “인니·태국으로 거점 넓혀야” (조선비즈)
- 베트남 권력 서열 1~4위 친중 인사로 재편
- 신한베트남은행은 지난해 3분기까지 1447억(62.7% 상승). 우리은행도 60%대 상승.
- 국내 은행들의 진출이 유망한 곳으로 꼽히는 국가는 인도네시아와 태국. 정치 리스크가 적고 외국 기업에 개방적.
부동산 (국내): 부동산 침체에도 서울 오피스 공실률 '최저’ 왜? (파이낸셜뉴스)
- 22년 서울시 오피스 빌딩 공실률 연평균 2.78%. 1월 3.62%에서 12월 2.07%
- 가장 크게 임대료가 오른 권역은 GBD(강남)로 2.5% 증가했다. 다음으로는 YBD(여의도) 2.3%, CBD(도심) 0.6% 순
- 전용면적당비용(NOC)은 3.3㎡(1평)당 1월 19만791원 대비 12월 19만7044원을 보이며 3.3% 증가
- 신규 오피스 공급이 제한적인 만큼 임대인 우위의 시장은 당분간 지속될 것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미국채 상승으로 한국 국채 및 시중 금리도 상승. 하락중이었던 대출 금리에 먼저 반영되어 상승.
- 중국의 미국과 갈등, 인건비 상승 등으로 새로운 세계의 공장으로 각광받던 베트남이 친중국 기조. 인니,태국 등으로 물색해야 할듯.
- 아파트 부동산은 침체지만, 오피스는 아닌듯. 오피스 공급은 오히려 줄어 공실률도 낮아지고 월세도 오름세.
반응형
'경제 > 경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일기] 2023.03.08 / 자이언트 스탭 유력에 미 3대지수 하락 (0) | 2023.03.08 |
---|---|
[경제 일기] 2023.03.07 / 경기 회복세로 돌아서나 (2) | 2023.03.07 |
[경제 일기] 2023.03.03 / 국채 금리 4% 갈까, 1인가구 외식 증가 (0) | 2023.03.03 |
[경제 일기] 2023.03.02 / 중국 리오프닝 → 항공, 위스키 성장 (2) | 2023.03.02 |
[경제 일기] 2023.03.01 / 대출 금리 하락, 미 금수제재 강화 (2) | 2023.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