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일 3.6
코스피 | 2,462.62 (+1.26%) |
다우산업 | 33,390.97 (-) |
WTI | 80.46 (+0.98%) |
원달러 | 1,301.00(-) |
달러인덱스 | 104.28(-0.23%)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6560 / 3.7410 / 3.5 |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5.06 / 3.96 / 4.75 |
거시 경제 (국내): 한은 "물가둔화, 예상 부합"…금리동결 근거 마련됐지만 변수도 산적 (아시아경제)
- 소비자물가가 10개월 만에 4%대
- 근원물가가 여전히 4%대에서 꺾이지 않고 기대인플레도 공공요금인상으로 4%로 상승.
- FED가 기준금리올릴시 최대 2%까지 차이. 중국의 경제 성장률 목표치 5%로 낮아진것도 불확실성 증가.
미시 경제 (국내): 카카오 "SM엔터 15만원에 공개매수"…쩐의 전쟁 돌입 (서울 경제)
- 6일 종가 대비 14.5% 높은 가격
- 카카오·카카오엔터 절반씩 35% 인수 성공하면 의결권 지분 19.43%를 확보한 하이브를 제치고 SM엔터의 최대주주
- 하이브가 공개매수를 통해 확보한 주식 수가 23만3817주로 지분율이 0.98%에 머물러 당초 목표치 25%에 크게 못 미치는 결과
- 공개매수 성공시 시간외 블록딜을 통해 40%까지 늘릴 듯
주식 (국내외): 뉴욕증시, 혼조세 마감...나스닥 0.1%↓(파이낸셜뉴스)
- 다우지수 0.12%상승, S&P500 0.07%상승, 나스닥 0.11%하락
- 국채 수익률 하락에 힘입어 상승세로 출발한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오후 들어 국채 수익률이 오르자 상승폭이 좁혀졌고, 결국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하락
- 국채 수익률 상승전환 10년물 3.966%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국내 소비자 물가지수가 4%대로 내렸지만 근원물가지수, 기대인플레가 아직 높고 국외 변수가 많은 상황.
-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4%대 까지 올라있음. 기준금리 6%대를 미리 반영한 결과일 수 있음. 시장은 6개월, 2년후를 반영함.
- 하이브와 카카오의 SM인수가 더 재밌어지고있음 하이브의 공개매수로 카카오가 불리해 질것으로 예상했으나 주가가 하이브 공개매수 가격인 12만원 보다 올라 공개매수 실패. 이어서 카카오가 15만원으로 공개매수 시도. 이번에도 누구가가 주가를 15만원이상 올릴지 관심
- 금리 동결로 인해 향후 전망이 좋아져서 인지 국내 지수가 전반적으로 좋은 흐름을 이어가고있음.
반응형
'경제 > 경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일기] 2023.03.09 / 안개속 세계 경제 금리 불확실성 높아져 (0) | 2023.03.09 |
---|---|
[경제 일기] 2023.03.08 / 자이언트 스탭 유력에 미 3대지수 하락 (0) | 2023.03.08 |
[경제 일기] 2023.03.06 / 금리 다시 상방 압력 / 수요과 공급을 잘 살피자 (0) | 2023.03.06 |
[경제 일기] 2023.03.03 / 국채 금리 4% 갈까, 1인가구 외식 증가 (0) | 2023.03.03 |
[경제 일기] 2023.03.02 / 중국 리오프닝 → 항공, 위스키 성장 (2) | 202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