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일 | 3/8 |
코스피 | 2431.91 (-1.28%) |
다우산업 | 32798.40 (-0.18%) |
WTI | 76.66 (-0.92) |
원달러 | 1316.00(+10.00) |
달러인덱스 | 105.59(+1.27) |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3.696 / 3.720 / 3.5 |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 5.25 / 3.98 / 4.75 |
미시 경제 (국내): 인터넷은행 "대출규제 완화" 요구에…정부는 '싸늘'한 이유 [빈난새의 한입금융] (한국경제)
- 인터넷 은행 지난해 말 연체율이 1년 새 두 배 이상 증가. 건전성 지표 악화
- 전체 가계 신용대출 잔액 대비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카카오 뱅크 케이뱅크 토스 현재 10.2% 21.4% 40%에서 올해말까지 30%, 32% 44%까지 올려야함.
- 금융당국과 약속을 지키지 못할 경우 신사업 진출을 위한 인·허가를 받을 때 불이익.
주식 (국내외): [뉴욕증시]긴축 경계감 속 고용보고서 대기...다우 0.18%↓(아시아경제)
- 다우지수 0.18% 하락, S&P500 0.14% 상승, 나스닥 0.40% 상승.유가 1.19%하락
- S&P500지수에서 부동산, 기술, 유틸리티 관련주는 상승, 에너지, 헬스 관련주는 하락
-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 3월 Fed가 자이언트 스탭 가능성을 78% 예측. 한달전 9%대, 일주일전 29%대에서 급격히 높아진 수준
- 2월 미국의 민간부문 고용은 24만2000명 증가 전문가 전망치 20만5000명를 상회. 2월 임금은 전년 동월 대비 7.2% 올라 1월(7.3%)보다 상승폭이 둔화한 모습이 확인. → 여전히 높은 수준
부동산 (국내): “금리 불확실성 커져…부동산시장 다시 얼어붙을 수도” (세계일보)
- 기준금리는 그대로지만 시장 채권금리가 오르면서 연 4.13~6.64% 수준이던 대출금리 최저점이 4.41%로 0.28%포인트(p) 오름
- 기준금리가 직전 1.25%에서 열 달 만에 2%p 오르는 사이 부동산 가격과 거래량도 급감. 지난해 전국 공동주택 실거래가는 14% 이상 떨어지며 역대 최고 낙폭.
뉴스 이어서 생각해보기:
- 미국 금리가 국내 경제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다시 확인.
- 미 금리 인상소식에 채권, 주가, 부동산등 모든 자산 가격이 하락.
- 최근 발표되는 미 고용지표가 매우 건제하여 긴축 압박 이어질듯.
- 역발상1 미기준금리 6%이상 상승: 주가 계속 하방 압박 안전자산인 금 등에 몰릴듯
- 역발상2 고용지표 순식간에 나빠져 기준금리 일찍 동결 혹은 완화: 주식 시장부터 좋아지기 시작하여 경제 회복할 듯. 회복기에 상승하는 주식 위주로 알아둘 필요 있음.
반응형
'경제 > 경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일기] 2023.03.13 / SVB 파산 스타트업 연쇄 도산 우려 (0) | 2023.03.13 |
---|---|
[경제 일기] 2023.03.10 / 미 자이언트 스탭 시 한국 금리인상 가능 (2) | 2023.03.10 |
[경제 일기] 2023.03.08 / 자이언트 스탭 유력에 미 3대지수 하락 (0) | 2023.03.08 |
[경제 일기] 2023.03.07 / 경기 회복세로 돌아서나 (2) | 2023.03.07 |
[경제 일기] 2023.03.06 / 금리 다시 상방 압력 / 수요과 공급을 잘 살피자 (0) | 2023.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