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전체 글

    [경제일기] 2023.02.03 / 반도체 사이클은 올것인가? 가치주 보다 기술주?

    기준일 코스피 다우산업 WTI 원달러 국채10년물 국채1년물 2/2 2,468.88(+0.78%) 34053.94(-0.11%) 75.88(-0.53) 1227.00(-4.5) 3.2070(-0.032) 3.4240(-0.023) 1. 거시 경제 (국내): 한은 어쩌나…물가 뛰고 한미 금리차 벌어지는데 경기는 침체 (더 중앙) 1일 Fed가 25bp 인상. 현 미국 기준금리는 4.5~4.75% 한국 기준 금리는 3.5%. 스프레드 1.25%p 다만 물가상승률이 5%에서 5.2%로 다시 상승. 중국 리오프닝으로 유가 등 원자재가격 상승가능성. 한미 금리 스프레드로 25bp 상승 압력이 강해졌으나, 경제성장률이 낮아 고심하는 한은. 2. 미시 경제 (국내): 챗GPT 열풍에 '지능형 메모리·고대역폭' 반도체..

    [경제일기] 2023.02.02 / 미증시 연초 랠리 계속 이어가, 금리하락 시기가 중요.

    기준일 코스피 다우산업 WTI 원달러 국채10년물 국채1년물 2/1 2449.80(▲1.02%) 34092.96(▲0.02%) 76.41(▼2.46) 1231.50(▼4.50) 3.239(▲0.079) 3.438(0) 1. 거시 경제 (국내): 1월 물가 5.2% 상승…6개월 연속 5%대(상보) (뉴스원) 2023년 소비자물가지수 110.11 5.2% 상승. 6개월 연속 5% 상승률. 생활물가지수 6.1% 상승 전기 공공 요금이 29.5% 상승하여 이번 물가 상승 주도. 인플레이션과 더불어 서민물가안정을 위해 전정부 동결했던 공공 요금을 이번정부 지속적으로 올려 큰 작용을 함. 소비 심리위축을 보여준것. 가스요금도 인상이 예정되어 있음. 특히 공업제품이 6%올랐는데 경유(15.6%), 빵(14.8%), ..

    [경제 일기] 2023.02.01 / 전체적인 침체 분위기속에 백화점 실적 두드러져.

    기준일 코스피 다우산업 WTI 원달러 1.31 2425.08(▼1.04%) 34,086(▲1.09%) 78.87(▲0.97) 1236.00(▲6.00) 1. 거시 경제 (국내): 벌어지는 소득 격차…근로소득 상위 20% 연봉, 하위 20%의 15배 (디지털타임스) 급여생활자 상위 20%가 하위 20%의 15배 소득. (2021년 귀속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 국세청) 소득 증가폭은 하위 20% 근로자가 21.6%, 상위20%는 12.9%. 상위 20% 근로소득 9898만원, 하위20%는 654만원. 1인 평균 급여는 4024만원. 상위1%의 1인당 평균 급여는 3억1730만원. 근로소득 5분위 배율은 17년 16.3→14.6→15.1로 다시 벌어져. 최근 발생하는 경기침채(Recession)은 그동안의 침..

    [경제 일기] 2023.01.31 / 경기침체는 이미 반영된 시장. 다음 변수는?

    기준일 코스피 다우산업 WTI 환율 1/30 2,450.47(-1.35%) 33,717.09(-0.77%) 77.9(-1.78) 1232.60(+2.60) 1. 거시 경제 (국내): 지난해 12월 전산업생산 1.6%↓... 32개월만에 최대 감소 (머니투데이) 22년 12월 전산업 생산지수 114.0 전월대비 -1.6%. 22년 연간 생산 3.3%, 소비 0.2%, 투자 3.3% 증가. 광공업생산 -2.9%, 서비스업 생산 -0.2%, 소비자판매지수 119.9, +1.4%. 12월 동행지수 100.9, -0.9p. 선행지수 98.5, -0.5p. 지난해 거시경제지표 발표가 있는 가운데 경기선행지수, 동행지수가 모두 하락세로 선행지수는 22년 7월이후 6개월째 하락세. 2. 미시 경제 (국내): "인천공항..

    [경제일기] 2023.01.30 / 국내 소비 심리 약화 지속, 주식시장은 랠리 이어가, 다음 스탭 역발상이 필요한 시점.

    기준일 코스피 다우산업30 WTI 원달러 기준일 코스피 다우산업30 WTI 원달러 1.27 2484.02(+0.62%) 33,978.08(+0.08%) 79.68(-1.33) 1235.00(+0.5) 1. 거시 경제 (국내): 연초 치솟는 식품물가…음료·빙과·빵 이어 주류도 오른다 (SBS) 연초 식료품 가격인상 러쉬 계속 음료, 빙과, 빵 등 5~15% 이상. 주류세 인상에 맥주도 가격인상. 겨울 한파로 농산문 가격도 높은 수준 유지. 대파 도매가 1년전보다 31.3% 높아. 지난해 원자재가 상승으로 물가 상승 계속, 최근 공공요금 인상과 더불어 소비심리위축에 더 악영향 줄것. 2. 미시 경제 (국내): '위기 장기화' 탈출구 못찾는 중기·벤처…전문가 해법은? (뉴시스)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에 인력..

    [경제일기] 2023.01.27 / 공과금 인상, 내수경리 하강 불안 심화, 금리 인상 정지 신호에 주식 랠리 이어져

    기준일 코스피 다우산업30 WTI 원달러 1/26 2468.65(+1.65%) 33949.41(+0.61%) 81.01(+0.86) 1234.50(-2.0) 1. 거시 경제 (국내): 내수마저 흔들린 한국, 연 0%대 성장 우려도…"저성장 진입" (뉴스원) 22년 경제 성장률 2.6%, 4분기 -0.4% 역성장. 수출 4분기 -5.8% 급감하며 역성장 주도. 23년 경제전망치 신한투자증권 1.0%, 하이투자증권 1.3%, 한화투자증권 1.5% 제시.중국의 일상회복에 따른 V자 반등, 주요국 금리정책 완화된다면 성장률 상향조정 가능. 2분기까지 경제 모멘텀과 성장률간 괴리 주시해야. 4분기 수출에 이에 민간소비가 흔들리는 양상이 포착되어 위기 대두. 2019년 코로나 사태 이후 첫 역성장. 둔화국면 진입...

    [경제 일기] 2023.01.26 / 23년 낮은 경제 성장률 전망. BOC의 금리인상 중단 시사.

    기준일 코스피 다우 WTI 원달러 1/25 2428.57 33743.84 80.15 1236.50 1) 거시 경제 (국내): 한은, 지난해 성장률 2.6% ‘전망치 일치’…4분기는 마이너스 성장 (매일경제) 2022년 4분기 실질 GDP 전 분기 대비 -0.4%. 지난해 1분기 0.6%, 2분기 0.7%, 3분기 0.3%. 민간소비 -0.4%. 정부소비 +3.2%. 건설투자 +0.7%. 설비투자 +2.3%. 수출 -5.8%. 수입 -4.6%. 실질 GDI +0.1%. 지난해 4분기 수출 부진과 민간소비 감소등에 따라 10분기만에 마이너스 성장률 기록. 연간으로는 전년대비 2.6% 성장하여 한국은행 전망치 달성. 2) 미시 경제 (국내): 외식업 경기 회복세 꺾였다…“소비 심리 위축” (경향신문) 22 4..

    [경제 일기] 2023.01.25

    코스피 다우산업 WTI 환율 1/24 2395.26 33733.96 80.13 1240.00 거시 경제 (국내): 위험선호 심리 회복…환율, 1230원 지지력 테스트[외환브리핑], 이데일리 달러인덱스 101.93선, 외국인 증시 순매수 8 거래일째 지속, 미국 뉴욕증시 기술주 실적 호조, 25일 원달러 1개월 물 1232.5원, 다우존스 30 산업 평균지수 0.31% 상승한 33,733.96, 대형주 중심 S&P 500 0.07% 하락한 4016.95, 기술주 나스닥 0.27% 하락한 11,334.27, 장 마감 후 MS의 4분기 주당 순이익 (EPS) 2.32달러, 월가 전망치 2.29달러,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PMI) 46.8 (전월 46.2) 서비스업 PMI 46.6 (전월 44.7) 뉴욕증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