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 일기] 2023.03.13 / SVB 파산 스타트업 연쇄 도산 우려
기준일 3/10 코스피 2394.50(-1.01%) 다우산업 31909.64(-1.07%) WTI 76.68(+0.96) 원달러 1323(+3) 달러인덱스 104.58(-0.73)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651 / 3.684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4.88 / 3.70 / 4.75 거시 경제 (국내): “웬만하면 안 먹고, 안 사입고 버틴다”...고물가 속 국민 소비 5%↓(매일경제) 소비 지표인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는 지난 1월 기준 103.9 지난해 8월 109.4와 비교하면 5.03% 하락 준내구재(의복·신발·가방 등) 소매판매액 지수가 119.3에서 111.5로 6.5% 하락. 특히 의복 7.6%하락. 의류신발 물가상승률 5.5%. 음식료품 소매판..
[경제 일기] 2023.03.10 / 미 자이언트 스탭 시 한국 금리인상 가능
기준일 3/9 코스피 2419.06 (-0.53%) 다우산업 32254.86(-1.66%) WTI 75.72(-0.94) 원달러 1320(+4.0) 달러인덱스 105.25(-0.41)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692 / 3.739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5.16 / 3.91 / 4.75 미시 경제 (국내): 금리 잡는 비밀 병기?…'대환대출 인프라' 대체 뭐길래 (뉴스원) 영업점 방문 없이 스마트폰 통해 '원스톱' 대출 갈아타기…5월 출시 연말부터는 주택담보대출도 대환 된다… 은행권 금리 경쟁 예고 주식 (국내외): 뉴욕증시, 고용 대기·은행주 약세에 하락… 나스닥 2%↓마감(연합뉴스) 다우지수 1.66% 하락, S&P 500 1.85% 하락, 나스닥 2.05%..
[경제 일기] 2023.03.09 / 안개속 세계 경제 금리 불확실성 높아져
기준일 3/8 코스피 2431.91 (-1.28%) 다우산업 32798.40 (-0.18%) WTI 76.66 (-0.92) 원달러 1316.00(+10.00) 달러인덱스 105.59(+1.27)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696 / 3.720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5.25 / 3.98 / 4.75 미시 경제 (국내): 인터넷은행 "대출규제 완화" 요구에…정부는 '싸늘'한 이유 [빈난새의 한입금융] (한국경제) 인터넷 은행 지난해 말 연체율이 1년 새 두 배 이상 증가. 건전성 지표 악화 전체 가계 신용대출 잔액 대비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카카오 뱅크 케이뱅크 토스 현재 10.2% 21.4% 40%에서 올해말까지 30%, 32% 44%까지 올려야함. 금융..
[경제 일기] 2023.03.08 / 자이언트 스탭 유력에 미 3대지수 하락
기준일 3/7 코스피 2463.35(+0.02%) 다우산업 32856.46(-1.72%) WTI 77.58(-2.88) 원달러 1306(+0.5) 달러인덱스 105.62(+1.27)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666 / 3.661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5.22 / 3.97 / 4.75 미시 경제 (국내): 금융장벽 허무는 당국…'인뱅' 이어 '인터넷전문카드사'? (뉴시스) 핀테크 기업 대상 간담회에서 핀테크 업계는 금융업 전반의 진입장벽 완화 필요성을 언급하며, 핀테크 특수성을 고려한 스몰라이선스(핀테크 라이선스) 도입 등을 건의 인터넷전문은행들의 카드업 직접 진출도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 신용카드업은 신규 진입비용이 크고 이미 포화상태라는 점, 또 전반적인 수..
[경제 일기] 2023.03.07 / 경기 회복세로 돌아서나
기준일 3.6 코스피 2,462.62 (+1.26%) 다우산업 33,390.97 (-) WTI 80.46 (+0.98%) 원달러 1,301.00(-) 달러인덱스 104.28(-0.23%)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6560 / 3.7410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5.06 / 3.96 / 4.75 거시 경제 (국내): 한은 "물가둔화, 예상 부합"…금리동결 근거 마련됐지만 변수도 산적 (아시아경제) 소비자물가가 10개월 만에 4%대 근원물가가 여전히 4%대에서 꺾이지 않고 기대인플레도 공공요금인상으로 4%로 상승. FED가 기준금리올릴시 최대 2%까지 차이. 중국의 경제 성장률 목표치 5%로 낮아진것도 불확실성 증가. 미시 경제 (국내): 카카오 "SM엔터 15만원..
[경제 일기] 2023.03.06 / 금리 다시 상방 압력 / 수요과 공급을 잘 살피자
기준일 3/3 코스피 2432.07(+0.17%) 다우산업 33390.97(+1.17%) WTI 79.68(+1.52) 원달러 1301.00(-14.5) 달러인덱스 104.48(-0.51)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707 / 3.776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5.03 / 3.96 / 4.75 거시 경제 (국내): 대출금리 오른다…기준금리 동결에도 시장금리 '들썩' (이데일리) 미 연준 '금리 고점설' 깨지자 국고채↑ 은행 주담대 하단 금리 0.28%p 상승. 예금금리 상단 일주일새 0.20%p 올라 은행채 움직임에 금리 상승세 지속 전망도 국제 뉴스 (해외): 韓은행, 中 대신 베트남 공들였는데 親중화에 난감… “인니·태국으로 거점 넓혀야” (조선비즈) 베트남 ..
[경제 일기] 2023.03.03 / 국채 금리 4% 갈까, 1인가구 외식 증가
기준일 3/2 코스피 2427.85 (+0.62%) 다우산업 33003.57 (+1.05%) WTI 78.16 (+0.47) 원달러 1315.5 ( +5.5) 달러인덱스 104.43(-0.39)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740 / 3.840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5.0335 / 4.0616 / 4.75 거시 경제 (국내): 심상찮은 은행채 금리 상승세…대출금리 더 오른다(뉴스1) 은행채 5년물 금리, 한달 새 0.7%p 상승…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에 시장금리 들썩 연말 기준금리 인하도 불투명…고정형 주담대 7% 위협 가능성 변수는 금융당국의 압박. 금융당국 예대금리차 축소를 위한 관리 강화 예고. 미시 경제 (국내): 물가폭탄 맞은 1인가구 "해먹는것보다 ..
[경제 일기] 2023.03.02 / 중국 리오프닝 → 항공, 위스키 성장
기준일 3/1 코스피 2412.85 (-) 다우산업 32,661.84 (+0.02%) WTI 77.69 (+0.64) 원달러 1310.00(-10.50) 달러인덱스 104.82(+0.2)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701 / 3.753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5.0531 (+4.32bp) / 3.9944 (+8.04bp) / 4.75 거시 경제 (국내): 연 5%대 예금금리 해 바뀌니 '증발'…얼마나 줄었길래 (뉴스원) 정기예금 5%이상 금리 비중 11월 29.7%에서 1월 1.9% 대출금리 낮추며 예금금리 더 낮춰 예대금리차 확대. 기준금리 동결로 금리 하락 기대감이 더커져 앞으로 오를 가능성 적을듯. 미시 경제 (국내): '中하늘길 수놓는다' 항공업계의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