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기

    [경제 일기] 2023.03.06 / 금리 다시 상방 압력 / 수요과 공급을 잘 살피자

    기준일 3/3 코스피 2432.07(+0.17%) 다우산업 33390.97(+1.17%) WTI 79.68(+1.52) 원달러 1301.00(-14.5) 달러인덱스 104.48(-0.51)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707 / 3.776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5.03 / 3.96 / 4.75 거시 경제 (국내): 대출금리 오른다…기준금리 동결에도 시장금리 '들썩' (이데일리) 미 연준 '금리 고점설' 깨지자 국고채↑ 은행 주담대 하단 금리 0.28%p 상승. 예금금리 상단 일주일새 0.20%p 올라 은행채 움직임에 금리 상승세 지속 전망도 국제 뉴스 (해외): 韓은행, 中 대신 베트남 공들였는데 親중화에 난감… “인니·태국으로 거점 넓혀야” (조선비즈) 베트남 ..

    [경제 일기] 2023.03.03 / 국채 금리 4% 갈까, 1인가구 외식 증가

    [경제 일기] 2023.03.03 / 국채 금리 4% 갈까, 1인가구 외식 증가

    기준일 3/2 코스피 2427.85 (+0.62%) 다우산업 33003.57 (+1.05%) WTI 78.16 (+0.47) 원달러 1315.5 ( +5.5) 달러인덱스 104.43(-0.39)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740 / 3.840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5.0335 / 4.0616 / 4.75 거시 경제 (국내): 심상찮은 은행채 금리 상승세…대출금리 더 오른다(뉴스1) 은행채 5년물 금리, 한달 새 0.7%p 상승…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에 시장금리 들썩 연말 기준금리 인하도 불투명…고정형 주담대 7% 위협 가능성 변수는 금융당국의 압박. 금융당국 예대금리차 축소를 위한 관리 강화 예고. 미시 경제 (국내): 물가폭탄 맞은 1인가구 "해먹는것보다 ..

    [경제 일기] 2023.03.02 / 중국 리오프닝 → 항공, 위스키 성장

    [경제 일기] 2023.03.02 / 중국 리오프닝 → 항공, 위스키 성장

    기준일 3/1 코스피 2412.85 (-) 다우산업 32,661.84 (+0.02%) WTI 77.69 (+0.64) 원달러 1310.00(-10.50) 달러인덱스 104.82(+0.2)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701 / 3.753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5.0531 (+4.32bp) / 3.9944 (+8.04bp) / 4.75 거시 경제 (국내): 연 5%대 예금금리 해 바뀌니 '증발'…얼마나 줄었길래 (뉴스원) 정기예금 5%이상 금리 비중 11월 29.7%에서 1월 1.9% 대출금리 낮추며 예금금리 더 낮춰 예대금리차 확대. 기준금리 동결로 금리 하락 기대감이 더커져 앞으로 오를 가능성 적을듯. 미시 경제 (국내): '中하늘길 수놓는다' 항공업계의 기대감..

    [경제 일기] 2023.03.01 / 대출 금리 하락, 미 금수제재 강화

    [경제 일기] 2023.03.01 / 대출 금리 하락, 미 금수제재 강화

    기준일 2/28 코스피 2412.85(+0.42%) 다우산업 32,656.70(-0.71%) WTI 77.05(+1.37) 원달러 1325.0(+4.5) 달러인덱스 104.82(+0.20)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701 / 3.753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5.0481 / 3.9140 / 4.75 거시 경제 (국내): 기준금리 7연속 인상에도… 가계대출 금리 20개월만에 떨어진 이유는 (머니s) 23년 1월 가중평균금리 대출금리 5.46%로 전월비 0.1%p하락. 일반신용대출금리 7.21%로 0.76%p하락 수신금리가 대출금리보다 크게 떨어져 신규취급액 예대금리차는 1.63%p로 확대 정부 정치권이 은행의 이자장사를 비판하며 대출금리 압박이 영향을 미친것 미시..

    [경제 일기] 2023.02.28 / 정부압박에 물가인상 철회 / 자발적 비정규직 증가

    [경제 일기] 2023.02.28 / 정부압박에 물가인상 철회 / 자발적 비정규직 증가

    기준일 2/27 코스피 2402.64(-0.87%) 다우산업 32,899.09(+0.22%) WTI 75.68(-0.64) 원달러 1320.50(+2.5) 달러인덱스 105.15(+0.62)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652(+7bp) / 3.619(+9.4bp)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5.0296(+2.22bp) / 3.9219(+2.71bp) / 4.75 거시 경제 (국내): 정부, 노골적 기업 압박에 결국…'가격 인상 없던일로' 백기 (한국경제) 15일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고강도 물가 안정 대응 촉구후 가격인상 예고했던 기업들 철회. 생수, 주류, 고추장, 식용유, 분유 등 서민 생활과 연관이 깊은 제품의 가격 인상 계획이 철회 혹은 보류 중. 공공 요금 인..

    [경제 일기] 2023.02.27 / 미 기준금리 상단 6%? 부동산 침체속 대학가 월세 비상.

    [경제 일기] 2023.02.27 / 미 기준금리 상단 6%? 부동산 침체속 대학가 월세 비상.

    기준일 2/24 코스피 2,423.61(-0.63%) 다우산업 32,816.92(-1.2%) WTI 76.32(+0.93) 원달러 1,318.00(+23.00) 달러인덱스 105.1500(+0.6200)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582(-2bp) / 3.525(-7bp)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5.052(+2.3bp) / 3.949(+6.8bp) / 4.75 거시 경제 (국내): 대출 위기 닥치나…신규 연체율, 1년 사이 두 배 가량 뛰어 (한겨레) 4대은행 1월 신규연체율 0.09%로 동월(0.04%) 대비 2배 이상 증가. 가계 신규연체율 0.07% 기업신규 연체율 0.10%. 정부 코로나19 대출 만기 상황 유예지원 다섯차례 효과 한계에 다다라. 대출 채권..

    [경제 일기] 2023.02.24 / 3.5% 금리 동결. 한국 1% 저성장 돌입.

    [경제 일기] 2023.02.24 / 3.5% 금리 동결. 한국 1% 저성장 돌입.

    기준일 2/23 코스피 2439.09(+0.86%) 다우산업 33153.91(+0.33%) WTI 73.95(-2.41) 원달러 1295.00(-8.00) 달러인덱스 104.5200(+0.4100)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602(-0.5bp) / 3.595(-4.4bp)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5.0344(-3.06bp) / 3.8865(-3.65bp) / 4.75 환율 1300원 밑으로 다시 하향세. 국채 금리도 하향세. 장단기 금리 역전 다시 발생. 거시 경제 (국내): 韓경제, 대형위기 없이 '위기급' 성장률…한은, 올해 1.6% 전망 (뉴스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3.5%로 동결,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로 0.1%p 하향 조정. 작년 4분기 ..

    [경제 일기] 2023.02.23 / FOMC 의사록: 더 강한 긴축

    [경제 일기] 2023.02.23 / FOMC 의사록: 더 강한 긴축

    기준일 2/22 코스피 2417.68(-1.68%) 다우산업 33045.09(-0.26%) WTI 73.95(-2.41) 원달러 1303.00(+0.50) 달러인덱스 104.11(+0.33) 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3.607(+0.015) / 3.639(+0.039%) / 3.5 미국채 1년물 / 10년물 / 기준금리 5.0595(+0.0245) / 3.9273(-0.0257) / 4.75 유가가 달러 강세로 계속 하락 중. 중국의 수요 증가로 유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예상보다 수요가 급증하지 않았고, 러시아가 3월에 감산을 예고했으나 오히려 수출을 늘리면서 중국의 수요를 러시아가 공급해주는 중. 거시 경제 (국내): "美 금리 안 내려" 강해진 달러에 환율 1300원대 (파이낸셜..